https://www.acmicpc.net/problem/14501
14501번: 퇴사
첫째 줄에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상담원으로 일하고 있는 백준이는 퇴사를 하려고 한다.
오늘부터 N+1일째 되는 날 퇴사를 하기 위해서, 남은 N일 동안 최대한 많은 상담을 하려고 한다.
백준이는 비서에게 최대한 많은 상담을 잡으라고 부탁을 했고, 비서는 하루에 하나씩 서로 다른 사람의 상담을 잡아놓았다.
각각의 상담은 상담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기간 Ti와 상담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 Pi로 이루어져 있다.
N = 7인 경우에 다음과 같은 상담 일정표를 보자.
1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총 3일이 걸리며, 상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0이다. 5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총 2일이 걸리며,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5이다.
상담을 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1일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상담을 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서 1일에 상담을 하게 되면, 2일, 3일에 있는 상담은 할 수 없게 된다. 2일에 있는 상담을 하게 되면, 3, 4, 5, 6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할 수 없다.
또한, N+1일째에는 회사에 없기 때문에, 6, 7일에 있는 상담을 할 수 없다.
퇴사 전에 할 수 있는 상담의 최대 이익은 1일, 4일, 5일에 있는 상담을 하는 것이며, 이때의 이익은 10+20+15=45이다.
상담을 적절히 했을 때,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수익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input
첫째 줄에 N (1 ≤ N ≤ 15)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Ti와 Pi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서 주어지며, 1일부터 N일까지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Ti ≤ 5, 1 ≤ Pi ≤ 1,000)
output
첫째 줄에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
풀이
func sol5() {
let daysOfInput = Int(readLine()!)!
var targetArr = Array(repeating: [0, 0], count: daysOfInput)
for i in stride(from: 0, to: daysOfInput, by: 1) {
let arrInput = readLine()!.split(separator: " ").map{Int($0)!}
//append할 때 3번째 ind인 [3, 4]와 6번째 [3, 4]가 같을수도 있으니까 unique하게 arr을 만들어줌
targetArr[i] = [arrInput[0], arrInput[1], i]
}
var max = 0 // 초기화
var visited:[[Int]] = [] //방문한 node를 저장하는 변수
func getValue(days: Int, currentlist:[[Int]]) {
let tempMax = visited.reduce(0){$0 + $1[1]} //방문한 노드의 값을 구함
max = max > tempMax ? max : tempMax
var tempList = currentlist
while !tempList.isEmpty { //만약 재귀를 통한 함수에서 받은 arr가 empty인지 판별한다.
let node = tempList.removeFirst() //빈 arr가 아니기에 queue자료구조를 생각한다.
var nextList = tempList //우리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while문(반복문)도 생각해야하고, 재귀적으로 호출할 array도 생각해야 한다.
//만약 nextList(다음 재귀에 실행될 array).count 현재 node의 상담 시간보다 작다면 현재 node는 활용할 수 없다.
//즉 현재 노드는 pass하고 다음 node를 선택해야 한다.
if node[0] - 1 <= nextList.count { //만약 현재 node를 활용한다면, 재귀적으로 호출될 arr을 fitting해준다.
for _ in stride(from: 0, to: node[0] - 1, by: 1) {
_ = nextList.removeFirst() // 예를들어 node가 [5, 10, 0]이라면
//함수를 실행할 때 있던 tempList에서 앞에서 5개를 제외하고 재귀적으로 실행한다.
}
visited.append(node) //노드를 방문했던 list에 추가한다.
getValue(days: days - node[0], currentlist: nextList) //재귀적으로 함수를 호출한다.
}
else {
continue
}
}
_ = visited.popLast() // 만약 반복문이 다 돌았다면, 하나를 빼준다. (값을 변화시키기 위해)
}
getValue(days: daysOfInput, currentlist: targetArr)
print(max)
}
sol5()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_알고리즘] 백준 15990_(1, 2, 3 더하기 5) (0) | 2023.03.28 |
---|---|
[Swif_알고리즘] 백준 11726 타일링 (0) | 2023.03.27 |
[알고리즘] 2중 배열 정렬 방법 (0) | 2023.02.28 |
[알고리즘] 백준 리모콘 (미제사건) (0) | 2023.02.23 |
[Swift] 백준 알고리즘 6588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