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먼의저주...

[프론트엔드] 프론트엔드에서 싱글톤 패턴을 왜 사용해야 할까?

by 마라민초닭발로제 2023. 2. 16.

출처 : https://jaesung0o0.medium.com/%EB%94%94%EC%9E%90%EC%9D%B8%ED%8C%A8%ED%84%B4-singleton-pattern-14f3013ca036

https://jaesung0o0.medium.com/%EB%94%94%EC%9E%90%EC%9D%B8%ED%8C%A8%ED%84%B4-singleton-pattern-14f3013ca036

 

[디자인패턴] Singleton Pattern

class 를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로 제한하는 패턴을 싱글톤 패턴이라고 합니다. 해당 클래스에 대한 모든 참조는 모두 같은 인스턴스를 바라봅니다. iOS 개발에서 매~우 흔하게 쓰이는 패턴입니다.

jaesung0o0.medium.com

 

 

글 개요 : 예전부터 들었던 생각인데, 백엔드도 아닌데 왜 프론트에서 싱글톤 패턴을 사용해야 하지? 라는 생각을 했어요. 그렇잖아요. 서버야 부하를 줄 수도 있지만 개인 기기의 경우 싱글톤 패턴을 사용한다해서 비약적인 성능향상은 일어나지 않을것 같은데(이부분은 보충이 필요)... 대부분 코드들이 싱글톤 패턴을 따르는데 내가 모르는 아니 놓친 무언가가 있을까? 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답변은 저와같은 사람이 있더라고요

https://www.quora.com/Why-is-the-singleton-such-a-favorite-design-pattern-among-front-end-developers

 

Why is the singleton such a favorite design pattern among front-end developers?

Answer (1 of 2): Let’s start by defining what the Singleton Design Pattern is: > the singleton pattern is a software design pattern that restricts the instantiation of a class to one object. This is useful when exactly one object is needed to coordinate

www.quora.com

 
Dan Shappir

 

Now if you look at the supposed implementation of the Singleton Design Pattern in most front-end applications you will find that nothing in the code enforces a single instance. A single instance might indeed exist, but just because the application created only that one instance. In other words, it’s not so much a Design Pattern, rather it is a convention. And you will find that this convention is fairly common in all branches of software development, not just among front-end developers.

That reason that using single instances of global objects is so common among software developers is that many of them have been told that they must use Object Oriented Programming, but they lack an understanding of what Object Oriented actually is. Implementing all their objects as singletons means that they appear to be using OOP while they’re actually using Procedural programming, at best. Even worse, state is retained in fields in the singletons, which means that data is effectively stored in globals, and managed via side-effects.

It’s a lack of design masquerading as a Design Pattern.

 

댓글인데 긴가민가 해서 구글링해보니 업계권위자 인 것 같네요. 요약하자면 프로그래밍 관습 떄문이라고 한다. 많은 개발자들이 OOP를 지향하기에 싱글톤을 사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큰 문제는 이것이 생산적인 코드는 아니라는 점이다. Dan Shappir가 말씀하시길, 제대로 이해하고 쓰라고 한다.

 

결론
듣고보니 프론트에서 강박적으로 싱글톤을 강제하여 개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닳았습니다. 그러나 가령 필요한 순간도 있을 것입니다. 상태관리나 앱에 있는 동안 계속해서 쓰는 객체의 경우는 필수적으로 싱글톤 패턴을 적용해야 할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