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먼의저주...

대기업에서 하는 리팩토링은 어떻게 진행될까? 멀쩡한 앱을 Flutter 앱으로 다시 짠 이유 " Recode Project '데마에칸(出前館)' "

by 마라민초닭발로제 2023. 4. 15.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demaecan-2nd-recode-kmm-to-flutter

 

멀쩡한 앱을 Flutter 앱으로 다시 짠 이유 - 일본 1위 배달 앱, 두 번째 Recode

안녕하세요, LINE+ ABC Studio에서 앱을 개발하고 있는 김종식, 남상혁입니다. 저희 팀은 현재 일본에서 운영하는 배달 서비스 '데마에칸(Demaecan, 出前館)' 프로덕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데마에칸(

engineering.linecorp.com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about-demaecan-recode-project

 

일본 1위 배달 앱, 바닥부터 다시 짠다 - Recode 프로젝트

서비스 소개   '데마에칸(出前館)'은 2000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의 음식 배달 No.1 서비스로 2년 전에 LINE에서 인수했습니다. 현재 일본의 배달 서비스 시장은 한국보다 작은데요. 그만큼 성

engineering.linecorp.com

 

 

진짜 한번즈음은 읽어봐도 좋을 듯

 

배운 점

- 리팩토링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들어감

  - 성능의 향상과 보안 이슈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어도 안 될 수 있음

각자 다른 입장을 갖고 있음.

 - 크로스플래폼이 갖는 문제점

이 외에도 구글맵과 다양한 문제점들이 있다고 한다.

 

 - 강조사항 

 

 

소감

이 게시물은 2023년 3월 매우 따끈따근한 글이다. 처음 Flutter을 시작했을 때 지식in앱과 KMM을 활용하는 네이버 배달앱 두 게시물을 보았던 기억이 나서 오래간만에 찾아봤다. 그런데 데마아칸이라는 프로젝트를 natvie -> KMM -> Flutter 이렇게 세번 바꿨다. KMM을 통해서 앱의 최적화가 된 것 같았는데 '데마에칸'을 다시 리펙토링 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간단 명료했다.

기술적 문제와 디자인 문제 두가지 때문이었다. 사실... 내 생각으로서는 두번째 Recode를 하는 것 자체가 매우 버거웠을 것 같은데, 자사 서비스의 애착이 매우 커보인다. 아키텍쳐가 💩해도 사실 굴러는 갔다. 글의 제목 또한 "멀쩡한 앱을 Flutter앱으로 다시 짠 이유"가 아닌가? 잘 굴러가는데 변화를 추구하는 이유는 개발자 소명의 관한 측면도 있지만, 애착 또한 커보인다. 크로스 플래폼을 공부하면서 Natvie를 많이 알면 알수록 좋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 이유 또한 글을 보다보면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스팅 한편을 쓰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들이 글을 통해 나타난다. 그리고 팀워크 또한 글에서 묻어나는 것 같다. 좋은 개발은 역시 좋은 동료와 좋은 사람들 곁에서 나오는 것을 다시 곱씹으며, 나 또한 미래의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쓰고 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