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자격증에 흔히 따라붙는 말이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없어도 그만이지만, 있는 편이 낫다." 이 자격증이 꼭 필수는 아니지만, 공기업에서는 가산점 5점을 받을 수 있다는 등, 자격증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가 있곤 합니다. 어렵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전공자라면 조금만 공부하면 충분히 취득할 수 있다고들 하죠. 그래서 저도 "심심하니까 한번 따볼까?" 하는 생각으로 준비해 시험을 보았습니다.
공부할 시간이 없어요 == 정처기라는 자격증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싶지 않아요
즉,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에 많은 시간을 들이고 싶지 않다는 말이겠죠. 사실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어떤 공부든 자신이 하고 싶은 것에 더 큰 가중치를 두게 된다는 것입니다. 특히 학교를 다니며 프로젝트까지 병행하니 공부할 시간을 내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매일 쉽게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이 글은 자격증을 따고 싶지만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최적화된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필기 공부 방법 (2시간 14일)
정보처리기사 필기는 다른 기사 자격증들에 비해 합격률이 높은 편입니다.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전 기출문제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아래 링크의 기출 사이트에서 문제들을 풀었습니다.
https://newbt.kr/시험/정보처리기사#google_vignette
뉴비티 기출문제 문제은행 - 완전 새로운 CBT, iBT 문제풀이 시스템
기사, 공무원, 공인중개사 등 로그인 필요 없는 수백가지 시험 기출문제 문제은행 시험 자격증 족보 2024년 최신
newbt.kr
기출문제를 풀면서 모르는 문제들을 캡처해 개념을 공부했고, 이를 노션에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정리한 내용을 반복해서 읽고 머릿속에 구조화했습니다. 이렇게 자세히 공부한 이유는, 필기에서 공부한 내용이 실기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문제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체적인 구조와 메타인지 능력을 키우려고 노력했습니다. 또한 이 개념이 어디에 연결되는지 점검하면서 공부했습니다.
실기 공부 방법 (8시간 3일)
필기를 합격하고 한동안 여유롭게 지냈더니, 어느덧 실기 시험이 다가왔습니다. 프로젝트와 학교 과제로 바빴지만, 실기를 생각하니 정신이 번쩍 들었습니다. 미리 사둔 정처기 기출 문제집을 펼쳐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실기에서는 Java, C, Python 관련 문제들이 나와 비교적 쉽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는 필기 때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필기 때 정리한 내용을 학교 등하교 때 반복해서 읽었고, 기출 문제의 중요성을 알기에 자주 틀리는 문제를 포스트잇에 적어 복습했습니다.
시험 당일에는 오답노트와 필기 때 틀렸던 문제들을 다시 읽어보았습니다.
찐 합격 후기
최종 시험 점수는 필기 83점, 실기 65점으로 실기가 간신히 통과했습니다. 실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않았지만, 필기 때 제대로 공부한 덕분에 합격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공부할 때 어디에 쓰이고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이해했기 때문에 실기에서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았습니다. 실기 점수가 낮았던 이유는 자바 문제에서 두 문제를 놓친 탓이 큽니다. 변명하자면, 비전공자로서 자바를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언어적 특성을 잘 몰라서 틀렸습니다.
어쨌든 자격증을 취득한 이 경험을 바탕으로 빨리 취업하고 싶습니다. 다른 분들도 정처기 자격증 도전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학습자료 공유 못해서 죄송합니다. 다른 분들 글을 복사한 경우나, 기업의 기술블로그를 그대로 복사한 경우가 있어서 공유하는데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PS: 공부는 복습이 최고!
'취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SQLD 합격 후기 (1) | 2024.12.15 |
---|---|
네이버 부스트캠프 8기 코딩테스트 후기 (합격) (0) | 2023.06.24 |
Apple Developer Academy 1차 탈락 후기 (0) | 2023.06.22 |
2023 팀네이버 신입 공채 : Tech 지원 후기 (0) | 2023.06.21 |